새로운 고기능 조명시스템
- 전문가 제언
-
○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주거나 상업용 건물의 조명은 그 자체의 고유기능 이외에 인테리어성 측면에 대한 요구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건축가 및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은 이런 사용자의 요구 변화에 따라 차별화 측면에서 건물 및 실내조명에 대한 연구에 힘을 쏟고 있다.
○ 최근 조명시스템은 기능면에서도 간접조명의 적용확대, 조명의 밝기, 각도, 색상조절 등으로 기능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는 최근 확대 사용되는 LED(Light Emitting Device)의 장점, 특히 콤팩트하고 색상조절이 가능한 장점을 활용하면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 그러나 LED를 적용한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눈부심 현상 방지 및 다양한 기능을 위해 여러 종류의 광학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조명시스템은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져 인테리어성을 저하시키는 등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개선된 조명시스템이 요구된다.
○ 이를 위해 이 발명에 의한 조명시스템에는 광 가이드(light guide)와 광 공급수단(means capable of providing light), 광 성형수단(means for shaping light) 등 주요 구성요소가 새로운 구조와 방식으로 배치된다.
○ LED는 에너지효율이 높아 지구 환경문제 완화에 기여한다. 그리고 콤팩트하고 수명이 긴 장점으로 적용기기의 인테리어성과 유지비 절감에 매우 유리하다. 이런 장점으로 향후 모든 분야의 조명시스템은 형광등, 백열등과 같은 종래의 램프로부터 LED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러한 LED는 생산수량 증가와 함께 신소재 개발과 공정기술 향상으로 가격이 지속적으로 내려갈 것이다. 이에 따라 LED 적용도 가속화될 것이며, 이에 대한 LED 활용분야의 발굴과 활용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758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2
- 분석자
- 이*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