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OS 이미지센서의 소형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
- 전문가 제언
-
○ CMOS 이미지센서가 개발된 지 어언 40여 년이 지났다. 초기에는 기술적인 문제점으로 큰 진전이 없었으며 해상력의 문제나 화상처리의 문제 등으로 CCD보다 열등한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휴대전화, PDA 등 소형 전자기기의 대거 등장과 저소비전력 등의 장점으로 개발의 급진전을 이루며 CCD 센서를 압도하기 시작했다.
○ CMOS 센서는 일반 반도체 공정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단일 칩 내에 주변회로의 동시구축이 가능해 모델의 생산단가가 저렴하여 특히 소형의 기기에서 많은 수요가 발생한다. 근년에 이미지센서 분야의 시장상황은 2007년을 고비로 CMOS 센서가 CCD 센서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
○ 이미지센서의 외형적인 크기는 일정 용량의 화소수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이 된다. 오늘날의 이미지센서는 FF(Full Frame)급의 카메라에서는 2500만 화소를 능가하며 소형 콤팩트 디지털카메라에서도 1200만 화소 대를 넘어서고 있다. 이처럼 고밀집의 집적도를 이룰 수 있게 되어 과거 필름의 해상력을 상회하고 있다.
○ 본고는 CMOS 이미지센서의 소형화와 이에 따르는 문제점들과 개선책 및 CMOS 이미지센서의 효용성에 대해서 고찰한 내용으로 날로 새롭게 진보하는 영상문화에 대한 이미지센서의 놀라운 발전상과 유용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CMOS 이미지센서의 기술 분야에서는 우리나라가 단연 우위를 점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에서의 연구?노력으로 개발되어 DSLR형 카메라에 탑재되고 있는 포비온 센서(Foveon sensor)는 모아레(moire)가 없는 우수한 컬러 발색과 고해상력으로 소비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최근 Fuji-film Co.에서 개발한 유기광전변환 막을 사용한 CMOS 이미지센서도 이와 유사한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 기술의 끊임없는 발전을 기대한다.
- 저자
- Yoshinori Takiz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46(7)
- 잡지명
- トランジスタ―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41~146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