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 호로 코어 나노입자 작성
- 전문가 제언
-
○ 다핵 결정성장에 대한 성공사례를 소개하는 내용이다. 한 개의 결정면에 동시다발적으로 2차원 결정핵이 생겨난다. 기존의 결정핵 위에 새로운 2차원 결정핵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2차원 핵이 동시에 곳곳에 발생하여 퍼져나가는 소위 “발생과 전개 모델“(model of birth and spread)을 사용한 성장방법이다.
○ 고립되어 있는 한 개의 나선전위에서 출발하는 성장 층의 스텝간격은 19r*(r*; 임계2차원 핵반경)에 비례한다. 두 개 이상의 나선전위가 가까이 존재할 때에는 나선스텝이 경합과 통합을 반복하면서 중심에서 스텝의 교환을 일으킨다. 외부에서 다가오는 미끄럼 충격으로 생긴 벡터(Burgers vector)가 전위중심에 호로코어(hollow core)를 형성한다.
○ 결정이 나타내는 형태는 면으로 둘러싸여 있는 다면체결정(polyhedral crystal), 중앙을 향해서 계단모양의 오목한 면으로 둘러싸인 호퍼결정(hopper crystal), 수지상결정(dendrite) 등 여러 모양으로 변화한다. 이들 결정은 언제든지 단결정이며 결정 종에 의하여 각각 특징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같은 결정 종에 있어서는 성장조건에 의하여 다르다.
○ 결정성장에 있어 과포화도나 과냉각도의 정도가 평형에 크게 벗어날 때 수지상결정으로 된다. 수지상결정에는 소결정면(facet)이 나타나는 경우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눈의 결정처럼 소결정면이 있을 때에는 계면에 복잡한 역학적인 성장조건이 따르게 된다. 소결정면이 없을 때에는 계면 농도와 온도만 충족하면 성장한다.
○ 덴드리머(dendrimer)는 수지상결정의 일종이다. 별 모양결정이다. 결정성장에는 각종 작용기를 가진 핵에서 1세대, 2세대 등으로 가지를 연장해 가는 제조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핵에 금속 아민을 사용하여 각종 기능성을 도입할 수 있다. 또 표면에 이온성기를 부가할 수도 있다. 광 기능재료 분야에서 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저자
- Jaewoo kim et al.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509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