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1형 당뇨병의 환경인자로 작용하는 콕사키바이러스의 감염

전문가 제언
○ 콕사키바이러스(coxsackievirus)는 single-stranded RNA 바이러스로 enterovirus genus에 속한다. 처음 분리된 미국 뉴욕주의 지명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바이러스는 다양한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A형과 B형으로 대별된다. A형은 포진성 구협염과 수족구병을 일으키며 B형은 심근염과 흉막통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 콕사키바이러스는 다른 enterovirus와 마찬가지로 환자 및 보균자의 분변에 의해서 오염된 음식물을 통해 전파되어 인두와 장관에서 증식한 후 혈액으로 들어간다. 이 바이러스의 세포 수용체는 중추신경계, 폐, 심장, 췌장, 점막, 피부 등 다양한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 자연계에서는 사람이 유일한 숙주이다.

○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은 고혈당이 일으키는 복합 질환으로 기본적으로는 혈당을 강하시키는 인슐린의 부족에 의해 초래된다. 증세가 급격하고 중증인 경우 당뇨병 혼수를 일으키며, 만성인 경우에는 미세혈관 장애와 동맥경화 등 다양한 합병증을 야기한다. DM은 인슐린 의존성인 제1형과 비의존성인 제2형으로 대별한다.

○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은 췌장에 흩어져 있는 불규칙적인 미세구조로서 췌장의 내분비선을 포함하고 있다. 사람에서는 적어도 3가지의 세포형이 알려져 있다. 알파세포는 혈당을 상승시키는 glucagon을 분비하고 가장 많은 베타세포는 혈당을 떨어뜨리는 인슐린을 분비하며 델타세포는 somatostatin을 분비한다. 베타세포가 퇴화되면 탄수화물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인슐린이 부족하여 당뇨병의 주요 원인이 된다.

○ 제1형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인자가 동시에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바이러스, 특히 콕사키바이러스의 감염이 주요 환경인자로 작용한다. 이 바이러스와 숙주의 상호관계를 잘 이해하는 것은 1형 당뇨병의 발생과 악화를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저자
Martin J. Richer, Marc S. Horwitz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11~615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