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카메라에는 왜 CMOS 이미지센서가 사용되는가
- 전문가 제언
-
○ CCD는 1969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처음 개발되어 이미지센서로 사용되었다. 그 후 비디오카메라에서 사용되던 촬상관에 CCD 촬상 소자가 대체 사용되면서 ‘70년대의 소형 비디오카메라(캠코더)의 붐을 일으켰다.
○ 1975년에 Kodak은 세계최초로 스틸 카메라에 CCD 촬상 소자를 사용한 프로토 타입 디지털카메라를 선보였으나 장치가 매우 컸고 이미지 저장장치는 카세트 테이프였다. 1981년 Sony에서 ‘마비카‘라는 상품명으로 일안 리플렉스형 디지털카메라를 출시한 것이 상용 디지털카메라의 효시가 되었다.
○ 비디오카메라 이후 CCD 이미지센서는 초기 디지털카메라에 적용되었으나 카메라 가격이 승용차와 맞먹는 고가로 대중화되지는 못하였다. ‘90년대부터 휴대전화의 대중화로 카메라부착 휴대전화의 공급이 늘어나게 되었고 CCD의 수요도 증가하기 시작했다.
○ PDA등 소형 단말기에 사용되는 전자기기는 저소비전력이 필수적이다. 개발의 역사는 CCD보다 먼저였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침체기를 겪던 CMOS 이미지센서가 저소비전력의 장점과 주변회로와의 단일화 등에 힘입어 점차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와 휴대전화의 폭발적인 수요와 보급정책에 따라 CMOS 이미지센서의 개발이 급진전을 보이게 되었다.
○ 초기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기술들이 하나하나 해결되면서 CMOS 이미지센서는 최근에 고급형의 디지털카메라에도 채택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고해상력을 필요로 하는 특수 분야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기기에서 CMOS 이미지센서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는 특히 고집적성, 낮은 생산단가 및 저소비전력의 이점 등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irokazu Eny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46(7)
- 잡지명
- トランジスタ―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72~78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