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세배열 DNA칩 이중발색 분석법

전문가 제언
○ 미세배열 DNA칩을 이중으로 발색시키는 방법은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선호하는 방법이다. 서로 다른 두 검체를 한 점에서 검사하고, 일반적으로 한 실험에 여러 개의 미세배열 칩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시료배합 방법도 다양하다. 실제적인 배합 방식을 ‘혼합 디자인’(hybridization design)이라고 한다.

○ 이중 형광색소 미세배열 DNA칩 분석에는 두 가지 형광색소(주로 570nm의 형광을 내는 시아닌 Cy3과 670nm의 형광을 내는 Cy5)를 검체 cDNA에 붙인다. 이 분석법의 장점은 한 가지 검체를 두 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칩 자체의 품질 편차로 인한 실험결과의 편차를 부분적으로 줄일 수 있는 점이다.

○ 혼합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은 주로 비용절감 때문이다. 염료의 균형을 맞추려면 미세배열 칩이 추가적으로 소요된다. 색조편향(dye bias)은 다른 접근법, 즉 한정된 수의 self-self hybidization(한 유전자를 두 가지 염료로 붙이고 같은 열에서 반응시키는)으로 보정한다.

○ 혼합 디자인에는 Balanced design, Reference design, Loop design 등이 있다. Balanced design은 동일하게 처리된 각각의 시료 또는 시료군에 적색 염료와 녹색 염료를 동일하게 붙여주는 것으로 dye balanced design을 의미한다. Reference design은 모든 시료를 공통 대조시료와 혼합시키는 방식을 뜻한다. Loop design은 시료들이 원형이나 그 밖의 다른 연결방식, 즉 사이사이 끼워 넣는 방식이다.

○ 미세배열 기술은 전사유전자체를 분석해 내는 강력한 방법이다. 수천 가지 유전자들의 발현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이 분석기술을 능가하는 방법은 아직까지 없다. 현재 미세배열 DNA칩 분석으로는 유전자 발현의 절대량을 정확히 측정하거나 미량 유전자 발현을 검출해 내지 못하고 있다. 핵산융합 분야의 기초연구와 검출방법, 혼합조건이 기술적으로 더 발전된다면 미세배열 DNA칩의 측정기술은 한층 높은 분석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저자
Dries Knapen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7(7)
잡지명
Trends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406~414
분석자
장*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