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혁신프로젝트에서 R&D 협력과 실패: 프랑스 CIS 자료로부터 경험적 증거

전문가 제언
○ 본 연구는 기업과 R&D 협력의 포트폴리오가 혁신프로젝트에서 실패하는 실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프랑스 공동체 혁신 조사(Community Innovation Survey; 이후, CIS)인 CIS1과 CIS2 데이터세트(datasets)를 조합하여 혁신 실패 요인을 분석했다.

○ 먼저 통상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혁신 실패 또는 지연 사항을 가설을 성정하고 이에 관한 종속변수를 혁신 실패로 하고 독립변수를 다섯 변수를 추출하여 그것을 협력대상 형태, 협력 경험, 제도의 타당성, 기업특성, 기타 통제변수로 설정했다. 추가적으로, 협력 실패의 결정요소에 관한 핵심 경제적 모델은 협력상대, 기업특성(내부 사정, R&D 강도, 상향흐름, 크기, 국내 그룹, 외국 그룹), 제도 타당성, 산업Herfindhal집중비율 및 기술 요인들로 누적정규분포함수를 구성했다.

○ 본 연구 결과, 경쟁자 및 PROs와의 공동협력은 수직협력자(공급자 및 고객)보다 혁신 실패 또는 지연으로 이어지기 더 쉽다는 가설은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일형태 기업과 공동협력을 해 본 경험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지식재산권 또는 비밀의 전파를 막는 데 실패는 혁신프로젝트로 이어진다는 것은 부분적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 소기업, R&D 외면 그리고 그룹에 속하지 않을 때, 혁신프로젝트는 실패 또는 지연으로 이어진다는 가설은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R&D 강도와 기본적인 연구에 대한 투자는 협력위협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의 영향은 여러 면에서 덜 체계적이었다. 기업이 보다 타당한 연구결과를 낼 수 있는 산업체일 경우에 협력 위험률이 보다 낮았다. 기업 크기, 그룹소속, 또는 혁신의 더 많은 타당성은 R&D 협력을 자극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들 요소는 역시 협력위험을 감소시킨다. 경쟁자와 PROs와의 협력은 보다 협력 실패로 끝나기 쉽다. 경쟁자와 PROs와의 협력은 공급자 또는 고객과의 협력보다 빈도가 낮았다.

저자
Steophane Lhuillery, Etienne Pfist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09
권(호)
38
잡지명
Research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45~57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