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오염물질로 우려되는 석탄 중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전문가 제언
○ 석탄과 석유에는 발암성 등의 유해성이 있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가 모두 함유되어 있지만, 석탄 유래의 PAH와 석유 유래의 PAH를 물리화학적으로 구분하지는 못하고, 환경적 분석과 평가를 통해 구분해야한다.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중에서는 석탄 유래의 PAH 오염물질이 존재하고 석유 유래의 PAH 오염물질도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유래의 분석보다는 PAH 자체의 잔류량과 농도 및 영향과 악영향을 분석해 대처하는 편이 타당한 것이다.

○ 한국에서도 석탄 및 석유 유래의 PAH에 대한 환경 중의 잔류량과 농도 등을 분석하고, 그 환경 중에서 장기간 주민들에 대한 질병역학적 추적조사의 기초를 마련해 둘 필요가 있다.

○ 한국에서 석탄 유래의 PAH가 환경 및 주민의 건강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역은 강원도 태백시 등의 탄광지대 및 전라남도 화순의 탄광지역이다. 이곳의 석탄 유래의 PAH에 대한 전문적 조사는 실시해 본 일이 없으니 그 영향과 악영향을 평가해 볼 수는 없지만, 국민복지적 차원에서 이제는 시도해 볼 시기가 도래한 것이다.

○ 석유 유래의 PAH를 전문적으로 조사해야 할 첫 번째 지역은 1995년 7월 24일 14만 톤 유조선 ‘씨프린스’ 호가 전남 여천군 소리도 앞바다에서 태풍에 의해 좌초되고 5천 톤의 원유가 유출되어 오염시킨 소리도 연안해역이다. 두 번째 지역은 2007년 12월 22일 15만 톤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 호가 인근을 지나던 바지 선과 충돌해 1만여 톤의 원유가 유출되어 연안을 오염시킨 충남 태안군 만리포 북서쪽 10km 서해 바다의 연안해역이다.

○ 소리도와 만리포 앞바다의 연안해역은 유사 이래 한국에서 일어난 최고의 대형 해양오염 사건 발생 해역이다. 그 연안해역의 퇴적물과 토양에는 석유 근원의 PAH가 적지 않게 잔류하고 있다. 그 PAH가 가져올 환경과 주민에 대한 악영향을 이제는 분석 및 평가해야 할 시기가 도래했다. 국민건강과 해양오염 예방 및 환경보전의 차원에서 시도해야 하는 것이다.
저자
C. Achtena, T. Hofmann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407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461~2473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