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수의 소독 부산물 형성 예측

전문가 제언
○ 소독제와 자연 유기물의 반응으로 알고 모르는 다양한 부산물을 만든다. 식수 섭취, 흡입 및 집안 생활, 풀 수영, 염소 소독한 온수목욕, 브롬 소독시스템, 샤워, 요리 같은 피부접촉으로 급수되는 식수의 소독 부산물에 일상적으로 노출된다. 만성적 노출은 암이 아니더라도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식수의 소독 부산물을 규제한다.

○ 네 가지 Trihalomethanes(클로로포름, Bromodichloromethane, Dibromo- chloromethane 및 브로모포름), Dichloroacetic Acids, Trichloroacetic Acids, Trichloroacetonitrile, 브롬산염 및 아염소산염은 발암효과가 있고, N-Nitrosodimethylamine 같은 질소성 소독 부산물도 잠재적으로 암 위험이 있다.

○ 1974년 식수의 소독 부산물이 발견된 이래 자연수, 처리수 및 종합 합성수에 대한 모델이 실험실이나 현장에서 개발했다. 부산물 연구를 위한 118개의 예측모델이 1983~2008년에 48개 과학 잡지에 실렸다.

○ 식수의 처리와 소독에는 몇 단계의 물리?화학적 과정을 거친다. 원수의 소독 부산물, 전구물질, 탁도, 병원균 및 화학물질을 줄이려고 다른 처리방법도 사용한다. 유기물 농도에 따라 과립 활성탄소를 넣어 흡착과 촉매분해로 부산물을 줄인다. 이는 운전유지 비용을 높이지만, 사용하지 않으면 병원균과 소독 부산물, 전구물질을 완전히 처리할 수 없다.

○ 미국 환경청은 급수시스템의 최대 오염물 농도로 Trihalomethanes을 80 μg/ℓ로 총 Haloacetic Acids을 60 μg/ℓ로 했다. Health Canada는 2007년 Trihalomethanes의 허용을 100 μg/ℓ로 정하고, 호주-뉴질랜드는 250 μg/ℓ, 영국은 100 μg/ℓ로 2004년에 각각 개정했다.

○ 우리나라도 Trihalomethanes와 Haloacetic Acids을 각각 100 μg/ℓ로 하고 매달 측정하여 확인하고 있다. 다만 예측모델로 수질과 각 파라미터, 운전조건, 운전비용, 운전방법 등을 결정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저자
Shakhawat Chowdhury, Pascale Champagne, P. James McLell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407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89~4206
분석자
곽*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