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복 곤란한 HIV AIDS환자에서의 경관 투여는 가능한지

전문가 제언
○ 후천성 면역부전 증후군(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소위 에이즈질환은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감염증이 진행하여 면역부전 상태에서 여러 가지의 기회감염질환에 이환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며 항HIV요법의 치료개시 시기에 관해서는 환자의 면역상태의 지표인 CD4 양성 T림프구 수가 350개/μL 이하를 목표로 하여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개시함으로써 환자의 면역력을 회복시켜 일상의 사회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로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적절한 치료를 이행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장기간의 감염에도 불구하고 방관 시에는 AIDS 발증이 계기가 되어 비로소 감염이 확인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치료가 어려울 때가 많다.

○ AIDS 지표 질환 중에서도 HIV뇌증 및 진행성 다소성 백질뇌증질환 시에는 약제의 내복이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가 많은 질환이다. HIV뇌증에서는 치매장애의 초기징후인 집중력이 저하되거나 자주 잃어버리고, 작업능력이 저하되며, 무기력해지는 등은 비교적 경미한 증상이며, 더욱 진행하게 되면 전반적으로 치매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도 발생한다.

○ 병상에서의 안정된 환자의 장기 입원 문제는 HIV/AIDS 수용문제에 있어서도 매우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로서 앞으로 요양시설, 복지시설 등에서 수용할 수 있는 수요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특별한 기구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투약방법의 하나인 간이 현탁법은 재택환자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리뷰에 의하면, 이번에 간이 현탁법에 관해서는 물리적인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간이 현탁법으로 인한 투약법이 환자의 체내에 있어서 생물학적 동등성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앞으로 내복이 곤란한 치매 및 정신병 환자를 비롯하여 HIV 및 AIDS환자가 안심하고 간이 현탁법을 이용하기 위해서 보다 새로운 검토가 요망된다.
저자
Yoshii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60(8)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948~2954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