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에 의한 환경 중금속 흡수의 생화학: 먹이사슬과의 관계

전문가 제언
○ 중금속은 공기, 토양, 물 등 우리 주변의 환경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중금속은 구리 정련, 핵연료 제조와 같은 광물 제련과 도금공정 등에서 많이 나오고 또한 자동차의 부식, 연료연소, 윤활유의 폐유 등에서 대단히 많은 양의 중금속류가 배출된다.

○ 모든 생물은 몇 종류의 중금속을 필요로 하며 사람은 철, 코발트, 구리, 망간, 몰리브덴, 아연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런 필수적인 금속도 과도하게 존재하면 생물에 매우 해롭다. 특히 건강과 환경에 해로운 중금속은 Hg, Cd, As, Pb, Cr 등이다. 유럽에서 가장 높은 관심을 갖는 원소는 As, Cd, Co, Cr, Cu, Hg, Mn, Ni, Pb, Sn 및 Tl이고 폐기물 소각장에서 이들 원소의 방출을 규제하고 있다.

○ 일부 원소는 인체에 미량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중금속은 발암성이거나 유독하다. Hg?Pb?As는 중추신경계, Hg?Pb?Cd?Cu는 신장과 간, Ni?Cd?Cr?Cu는 피부와 골격 그리고 치아에 손상을 입힌다. 중금속은 유기 오염물과 달리 분해되지 않고 토양과 물, 공기에 남아 있으며 생체에 축적되기 때문에 더욱 해롭다.

○ 중금속은 피부나 호흡을 통해서 들어오지만 대부분은 식품을 통해서 들어오기 때문에 먹이사슬의 오염은 심각한 결과를 낳는다. 주식으로 사용하는 농산물은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을 흡수하고 해산물은 오염된 해양에서 흡수한다. 농산물 중에서 특히 벼는 As와 Cd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쌀에는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 앞으로 쌀 시장이 개방되면 여러 나라와 지역에서 생산된 쌀이 수입되기 때문에 중금속에 대한 규제와 철저한 품질검사가 요망된다. 또한 국내에서는 중금속으로 오염된 지역에서의 경작활동을 제한하여야 하며, 쌀뿐만 아니라 각종 야채류의 중금속 오염여부를 면밀히 조사하여야 할 것이다. 천년 제국 로마가 멸망한 원인 중의 하나가 납의 오염이라고 하니 이것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자
Jose R. Peralta-Videa,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41
잡지명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65~1677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