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DLNA 규격과 실용화 동향

전문가 제언
○ 홈 네트워크 기술은 최신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가정 내의 가전기기 PC 등의 동작이나 제어에 필요한 핵심기술로서 앞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술이다. 이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 산업은 통신, 방송, 가전 및 건설 등 다양한 이종 산업분야가 상호연계 및 융합된 특성 때문에 이를 통합할 기술표준인 표준체계가 요구된다.

○ 홈 네트워크 분야의 대표적인 표준화 기구는 DLNA(Digital Living Alliance Network)와 ZigBee Alliance를 들 수 있다. DLNA는 2003년 6월 삼성,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17개 업체가 중심이 되어 설립된 표준단체로서 기존의 공개 표준을 기반으로 홈 네트워크 조기 확산을 위해 기기들 간의 상호 호환성을 위한 표준 제정을 목적으로 발족된 단체이다.

○ DLNA는 홈 네트워크 분야에서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제조업체들이 사용하는 IP, HTTP. UPnP, Wi-Fi 등의 업계표준을 기반으로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하여 업계 간 컨버젼스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DLNA는 2004년 가이드라인 v1.0 발행, 2006년 가이드라인 v1.5발행, 2007년 가이드라인 1.5 인증 시작, 2008년에 인증취득 기기 수는 약 3,000 기종을 넘었고, 2009년에 v2.0을 발행할 예정이다.

○ 국내업계는 삼성전자가 표준안 투표권을 가지는 BoD 멤버 및 프로모터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고, LG전자, ETRI, KIST가 Contributor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DLNA 가이드라인 기반으로 개발된 디지털 미디어 서버인 “Samsung DMS"('04.9.17. 적합성 시험완료)를 LG전자는 ”LG Media Jukebox“('05.6.10 적합성 시험완료), “LG Media Library”('04.12.10 적합성 시험완료) 등을 DLNA 가이드라인 제품에 소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앞으로 DLNA 규격에 의한 가전제품, PC 및 무선기기 등이 확산되어 가면 각 기기 간 호환성도 향상될 뿐 아니라 홈 네트워크를 통한 가정 내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가 더욱 진전되어 DLNA 규격에 의한 제품시장도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저자
Hisato Sh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63(7)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901~905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