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 자식작용과 용해소체 퇴행 체계를 위한 중추적 역할
- 전문가 제언
-
○ 용해소체 망은 특히 간 및 근육과 같은 조직에서 오래 산 대량 단백질의 퇴행과 재순환의 98% 이상을 책임지는 주요한 세포 내 단백질 분해의 체계이다. 용해소체는 세포 내 손상된 구조의 최종 목적지이고 거대자식작용과 샤프론 중재 자식작용(CMA) 과정에 의해 인식되고 격리된다.
○ 거대자식작용 과정에서 오래 산 단백질과 서로 다른 고분자 무리 및 손상된 세포 내 소기관은 자식작용소체에 의해 우선 포식된다. 자식작용소체 자신은 퇴행용량을 제한하고 용해소체와의 융합에 의존한다.
○ CMA는 거대자식작용과 달리 중간 소포 형성을 요구하지 않으며 이 경로에 의해 인식된 세포질 단백질은 용해소체 막으로 직접 이동된다.
○ 노화는 고분자와 소기관 손상의 축적 때문에 세포와 기관의 점진적인 황폐화가 특징인 일반적인 현상이다. 닳아빠진 성분의 지속적인 제거와 새로 합성된 성분과의 치환은 세포질 항상성을 확보하고 노화 과정을 지연시킨다.
○ 증가하는 증거는 자식작용소체의 형성과 성숙의 속도 및 자식작용소체/용해소체 융합의 효율성이 나이가 들수록 떨어진다는 것을 보인다.
○ 게다가 유리기의 내부 용해소체 농도와 연령 색소인 지방갈색색소에서 점진적인 증가는 용해소체 단백질 퇴행의 효율성을 보다 더 점감시킨다. 그러므로 자식작용소체 - 용해소체 망의 완전성은 노화의 진행에서 결정적인 것 같다.
○ 자식작용의 과정을 포함한 유전자의 발견은 노화와 노쇠가 포함될지도 모르는 각종 분자 경로에 관하여 통찰력을 제공했다.
○ 이 재검토에서 자식작용을 포함한 세포질과 분자 기작 및 노화 과정에서 자식작용소체/용해소체 망의 역할이 토론된다.
- 저자
- Yogendra 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3)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99~213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