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 기술의 동향

전문가 제언
○ 최근에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지구온난화대책의 일환으로 태양광발전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 환경성은 본 대책 계획의 일환으로 태양광발전의 보급을 가속화시키는 ‘솔라 대작전’을 추진하고 있다.

○ 일본 정부의 교토의정서 목표달성 계획에서는 2010년까지 일본 내에서 482만KW의 태양광 발전을 도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태양광발전으로 전력을 확보함으로써 탄소 환산으로 연간 약 180만 톤의 이산화탄소 삭감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 저탄소사회를 지향하고 205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온실효과 가스 배출량을 1/2로 삭감하기 위해 일본은 2050년까지의 장기목표를 현재보다 60∼80% 줄였다. 지구온난화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국가들은 재생에너지와 청정에너지 개발을 통해 기존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의 국가들은 재생에너지 사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더 많은 사람들이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도록 여러 가지 정책적인 이니셔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 현재 영국의 경우 대체 에너지 사용을 위한 의지와 노력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20년 뒤에는 완전히 줄이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영국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지구온난화의 문제에 있어서 가장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 독일의 태양열 에너지 사용량은 영국보다 약 200배 많으며, 독일의 재생에너지를 통한 전기 생산율은 약 12%에 달한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Freiburg)의 경우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는 전력은 영국 전체의 태양광 발전량과 비슷하다.

○ 우리나라에서는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녹색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하고 적극 추진하고 있다. 사업성과 기반기술을 함께 고려하면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
Associati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96(6)
잡지명
OHM(オ-ム)電氣雜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8~32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