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백신 개발에서 유전체학의 사용
- 전문가 제언
-
○ 신종 인풀루엔자 등의 많은 감염병은 아직도 인류의 보건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대단히 크다. 따라서 미생물 질환을 관리하는 것은 인류의 건강과 경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대단히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다.
○ 감염병을 관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백신의 개발과 사용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천연두, 홍역 등 수많은 감염 질환이 백신에 의해서 거의 혹은 완전히 통제되었다.
○ 그러나 아직도 많은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양하나 그 중의 하나는 수많은 혈청형에 대한 적합한 항원을 만들지 못하는 데 있다. 세계의 모든 지역에서 유행하는 혈청형을 커버하는 혈청형을 찾아서 백신을 만들어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른 문제점은 재래 방법으로 백신을 개발하는 경우 수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 이러한 문제점을 상당 부분 보완할 것으로 예상되는 역유전체 백신학은 전통적인 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백신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전에 재래적인 방법으로 성공하지 못한 Neisseria meningitidis 혈청군 B 혹은 Men B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하여 성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 이 분야는 우선적으로 바이러스보다 세균에 대해서 적용하는 것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많은 세균은 세균 전체에 대한 중화항원을 가진 경우가 적어 각각의 혈청형 중 중화에 관여하는 특이 항원을 찾아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 이러한 어려운 난제를 해결해 주는 것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역유전체 백신학으로서 앞으로 대단히 유망한 생명공학의 한 분야다. 앞으로 세계적으로 이 기술을 이용한 백신 개발이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도 이 기술을 이용한 백신 생산이 필요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이 분야의 적극적인 진흥이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tefania Bambini and Rino Rappuol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4(5)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252~260
- 분석자
- 신*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