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에서 생산되는 백신: 기대와 현실

전문가 제언
○ 감염병 대책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백신의 제조 방법은 다양하며 각 방법 특이성을 갖고 있다. 1세대 백신의 제조 방법으로 항원을 배양하는 방법으로 동물, 유정란, 그리고 세포 배양 등이 있다. 근래 2세대 백신 항원 생산 방법으로 세균 혹은 효모 등에서 재조합 DNA 방법이 있으나 항원의 당화와 생산량에 문제가 된다.

○ 본 레뷰에서 다루는 식물에서의 백신 항원 생산 방법은 항원의 당화가 용이하다는 점, 대량 생산성, 씨앗 등에서의 생산에 의한 안정성, 그리고 구강으로의 섭취로 인한 면역화가 가능한 이점을 갖고 있다. 한편 안전성 관리가 어려운 점, 아직 생산에 대한 규정이 없다는 점, 통제가 어려운 점 등의 문제가 있다.

○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연구가 시작된 이후 20여 년이 흘렀으나 두 가지 제품 이외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기술적인 문제에서보다도 여러 가지 안전성 문제에 기인할 수 있다. 특히 사람 백신에 대한 허가는 여러 가지 안전성 규제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에 허가가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상기한 난점 이외에도 식물에서의 단백질 생산은 많은 경우 함량이 낮아 정제(purification)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몇 가지 어려운 점을 극복하는 경우,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백신을 생산,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아직 국내에서 식물에서의 백신 단백질을 생산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연구 현황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다른 생물공학 분야와 마찬가지로 식물 백신 제조 분야도 지속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경우 현재의 여러 가지 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따라서 식물 백신 생산에 관한 연구 분야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규제가 상대적으로 약한 가축 백신에 관한 연구는 허가될 가능성이 높아 적극적인 연구 수행이 권장된다.
저자
Edward P. Rybick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14(1)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24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