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친화성 항체의 생산기구에 관한 연구와 공학적 응용

전문가 제언
○ 특정항체의 검사는 의료진단학에서 매우 보편적인 형태이며 혈청 테스트와 같은 응용은 이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임상면역학에서 각 면역글로블린의 수준은 환자의 항체프로필을 특징짓기 위해 Nephelometry법으로 측정된다. 실제로 항원-항체 복합체의 검사에 기초한 몇 가지 면역진단법이 전염병을 진단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 또한 고특이성과 고친화성의 이 단일클론항체는 새로운 의약 분야로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단일클론항체 치료법은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건선, 결장암, 뇌암, 흉부암 등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데 이용되며 가장 주된 목적은 특정세포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종양 성장을 예방하고 악성종양세포를 공격하기 위한 면역 시스템을 자극하는 데 있다.

○ 쥐과의 단일클론항체는 마우스에서 유도해낸다. 그러나 마우스항체는 인체에서 매우 짧은 반감기를 가질 뿐만 아니라 CDC(Complement Dependent Cytotoxicity)와 ADCC(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에서 effector 반응을 유도해내는 데 인간항체만큼 효과적이지 못하며 종양에 대해 마우스항체가 효과적이지 못하게 만드는 HAMA(Human Anti-Mouse Antibodies)의 발생을 일으킬 수 있다.

○ 이러한 마우스 단일클론항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에 효과적인 새로운 항체를 설계하였는데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완전인간항체가 그것이다. 그러나 완전인간항체는 인간의 B세포와 골수종세포의 융합세포로서 아직 개발단계이며 세포융합률이 낮고 항체의 양이 너무 적다는 단점 외에 어느 항원이든 주입할 수 없는 윤리적 문제가 있다.

○ 현재 인간 단일클론항체는 형질전환 마우스나 Phage Display법을 이용해 생산되는데 Phage상에 나타내는 항체library는 본래 항암, 항염 항체약으로의 개발을 위해 제약공업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보다 고특이성이며 고친화성인 인간 단일클론항체의 개발을 위해 Phage Display 외에 이미 연구되고 있는 Ribosome display나 mRNA Display법에 대해서도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저자
Naoki Kana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7(3)
잡지명
生物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16~122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