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창 그라파이트로 조성한 화상 방호재료
- 전문가 제언
-
○ 화재 방호복은 군, 경찰, 소방요원 뿐만 아니라 석유 및 가스 산업과 화학공장 이나 용융금속 공장 등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화재에서 가장 치명적인 신체 화상재해는 착용의류의 인화와 지속되는 연소가 주원인이다. 이에 따라 방호복은 열과 화염을 차단하는 내열성을 강하게 추구하므로, 착용 시 열 스트레스 및 수분이동 특성에 의한 불쾌감과 운동성 등 기능성에서 손실을 야기한다.
○ 화재방호용 직물은 겉감, 투습방수층, 열 차단벽의 적층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나 최종용도, 제조회사에 따라 각기 다른 다양한 재료와 구조가 활용된다. 해외에서는 근래 화염과 열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내열, 내염성과, 동시에 작업성 향상, 열부하 경감, 쾌적한 착용감을 중시한 방호복 개량의 지속적 연구개발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이 발명은 새로운 화재방호용 복합직물 개발의 한 예가 되겠다. 화재방호용 직물의 겉감으로는 보통 아라미드, 멜라민 계, PBI 등의 난연섬유나 난연처리된 섬유를 사용한다. 특허내용에서 가연성이며 용융되는 일반 합성섬유를 직접 겉감으로 채용하고, 또 팽창 그라파이트를 직물용 난연제로 활용한 것은 극히 이례적이다.
○ 이 적층 복합직물은 특히 대류열에 대한 방호를 지향하고 있지만 공개한 내염성평가와 화상영역 비율% 결과로는 거의 화재 진압복 수준과 비슷한 내열, 내염성능을 보인다. 용융, 가연성인 재료선택에 비추어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 국내에서도 화재 방호복의 용도,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나 시장의 열약성과 안전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연구개발도 미비하고 방호복 품질, 성능도 후진성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우리의 섬유기술 수준으로 보아 신소재를 활용, 난연직물을 포함한 고기능성 제품들을 개발한다면 세계시장의 확대와 더불어 양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GORE ENTERPRISE HOLDINGS.INC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5504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6
- 분석자
- 문*남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