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의 진전에 있어서의 MMP패밀리와 RECK의 역할
- 전문가 제언
-
○ 세포외 매트릭스(ECM : Extracellular matrix)성분에 변이를 수반하는 질환이 발견됨으로써 ECM의 분해에 있어서 관계하는 Protease군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에 대한 기능적인 해석 등이 진전하게 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ECM의 기능에 관한 이해도 진전을 가져와 ECM이 세포의 작용이나 메커니즘에 관한 분자학적인 해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대부분이 암에서 기저막의 단백질분해효소군(MMP :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발현항진이 보이며 종양진전에 있어서 MMP의 역할로서 과거에는 종양의 침윤 및 전이로서의 관여가 주목받고 있었으나 최근의 연구에서는 혈관의 신생, 세포의 분열, 세포의 자살, 염증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사항에 관한 MMP의 다면적인 작용이 밝혀지고 있다.
○ RECK와 암에 있어서는 간암, 췌장암, 폐암, 대장암 및 유방암 등 여러 종의 고형종양에 있어서 절제종양조직에서의 RECK(Reversion-inducing cysteine-rich protein with Kazal motifs)발현과 환자의 양호한 예후와의 사이에 바른 상관이 보고되고 있으며 암에 있어서 RECK유전자의 변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RECK는 전사수준에서 대부분의 유전자에 의해 부정적인 통제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종양세포의 증식, 침입 및 전이에 관여하는 MMPs와 이를 억제하는 물질인 RECK가 여러 종류의 정상조직에서는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악성 종양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거나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규명된 간, 췌, 폐(비소세포), 대장, 유방암 등을 대상으로 RECK의 발현이 환자의 생존율과 재발하게 되는 기간 등과의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RECK와 MMPs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 저자
- Yoko Morioka,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7)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59~665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