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운동과 전이
- 전문가 제언
-
○ 세포운동은 세포골격 및 세포기질 간의 접착이 재편성되는 것으로 인해 일어나게 되는 현상으로 그의 진행과정은 저분자량 G단백질 Rho패밀리에 의해서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엄밀하게 통제되고 있으며 정상인 조직에서는 질서 잡힌 형태가 지켜진다.
○ 암세포에서는 자주 Rho패밀리의 시그널의 이상에 의해 세포운동 능의 항진이 일어나게 되며 그 결과 전이가 유발하게 된다. 암세포 운동의 특징으로서는 암세포는 각각 고유의 운동양식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일한 세포가 환경에 따라서 운동양식을 변경되게 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암세포 운동의 성질도 Rho패밀리에 의해 통제받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암세포의 운동을 표적으로 해서 암의 침윤과 전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암세포가 갖는 운동양식의 가소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간엽성 유주는 Protease저해제에 의해서 억제될 수는 있겠으나 MAT (Mesenchymal Amoeboid Transition)를 일으키는 세포의 운동은 Protease저해제에 의해서 억제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암세포의 운동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현재로서는 Protease저해제에 의한 간엽성 유주를 방해함과 동시에 ROCK(Rho kinase)의 저해제에 의해 아메바 양 유주를 방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암세포가 전이하기 위해서는 상피세포나 혈관 주위의 기저막이나 세포간 기질의 농도와 더불어 다른 결합조직 등에서 여러 가지로 다른 환경 안으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운동양식을 변환시킴으로써 암세포는 표적장기에 부착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심은 암세포 발생 저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관한 분자학적 메커니즘 해명은 연구자의 관심사가 될 수 있다.
- 저자
- Daisuke Yamazaki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7)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69~673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