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 프로그래밍 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 전문가 제언
-
○ 짝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은 두 명의 소프트웨어 기술자가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하여 짝을 이루어 작업하는 소프트웨어 기법이다. 여기서 프로그래밍의 개념은 단순한 코드 프로그래밍을 포함한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 메타분석은 어떤 특정한 연구 주제에 대해 행해진 여러 독립적인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연구결과물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이다. 메타분석에서는 연구 대상이 모집단에 존재하는 귀무가설과의 틀린 정도를 그 대상의 효과크기(effect size)라 한다. 효과크기의 값이 클수록 연구 대상물이 모집단에 나타날 가능성은 그 만큼 커진다.
○ Hannay 등은 이 논문에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에 대한 실험한 연구물들을 개관하고 검색된 각각의 연구물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품질과 기간에 있어서는 짝 프로그래밍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노력에는 부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 또한 연구 결과는 짝 프로그래밍이 프로그래밍 과업의 복잡도가 낮을 때는 단독 프로그래밍 보다 빠르고 과업의 복잡도가 높을 때는 높은 품질의 코드 해를 생성하게 된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복잡한 과업을 위한 높은 품질은 많은 노력의 대가를 치러야 하고 간단한 과업의 완성 시간의 축소는 낮은 품질이라는 대가를 얻는다.
○ 짝 프로그래밍은 두 기술자가 한 짝을 이루어 서로의 약점을 보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따르는 오류를 취소화하고 일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짝의 개념은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심리적인 보상체계에서 비롯된다. 이 방법은 소프트웨어 과업이 점차로 복잡해져 가고 있는 추세에서 보다 인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한 짝을 이루는 두 사람 사이에 기술의 격차, 심리적 갈등과 같은 문제점과 협동작업이 과연 효율적인가라는 의문점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Jo E. Hannay, Tore Dyba, Erik Arisholm, Dag I. K. Sjober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51
- 잡지명
- Information and Softwar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110~1122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