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FID에 의한 폐기물정보 관리방법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은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RFID태그 및 카메라를 아용하여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물리적 처리의 정확성과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이 국내외적으로 새로운 것은 아니나 폐기물 용기뿐만 아니라 재활용 물질의 분류 및 선별 후 재 포장단위나 도구에 RFID 태그를 부착하여 재활용 생산 효율성까지 증대할 수 있는 가치가 있다.
○ 정부는 5년 이내 폐기물 에너지자원화를 위한 전처리시설 20개소 이상, 소각폐열회수 이용률 100%, 매립가스 자원화시설 27개소 설치 등의 정책목표와 폐기물에 대한 EPR제도, 재활용산업 육성, 전자제품 및 자동차, 건설골재 재활용 등의 자원순환정책과 용기 재사용률 93%, 생활폐기물 재활용률, 재활용산업 매출 6조, 폐목재 재활용률 90% 이상, 부담금대상 플라스틱 재활용률 50% 등의 정책목표를 정하고 있다. 향후 폐기물관리의 정보화 및 과학화에 대한 실천방안으로 기존의 적법처리 입증시스템의 확대개선과 RFID기반 처리기술의 확대적용이 필요하다.
○ 폐기물 관리의 선진화 및 과학화를 위해서는 정확한 통계를 기반으로 한 정보화가 필수적이다. 그린 패러다임이 원천 및 요소기술 중점인 것에 이견은 없으나 인지도가 낮은 응용기술로서 정보 획득기술 및 통계기술에 대한 인식변화와 아울러 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 이 기술에서 제시된 폐기물 수거 이후의 처리과정의 효율성도 중요하지만, 매크로 측면에서 제품 전수명주기(TLC)에서 역 물류 개념의 원류관리에 입각한 ROI가 더 중요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은 폐기물 배출자의 자율적인 관리체계의 확립이다.
○ 폐기물 자율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법규준수 및 지도점검 차원에서 발전하여 경제적 인센티브제도의 도입을 확대하고 폐기물 배출자 책임부담과 보상을 병행하여야 한다.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률 향상은 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자와 유통자의 공동참여 및 민관 재활용 관리주체의 사업 참여가 중요하다.
- 저자
- RFTRAQ LIMITE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087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6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