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을 계측하는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화상처리기술은 대상물체의 2차원적인 위치나 형상계측으로부터 깊이 정보를 더한 3차원의 위치, 자세 및 형상을 계측하고자 하는 요구가 산업의 각 분야에서 높아지고 있다. 초기에는 생산 공정의 조립이나 검사의 자동화, 3차원 물체의 CAD/CAM의 형상 입력 및 이동 로봇의 환경인식을 위한 시각 센서로 연구 개발되어 왔으나 이제는 문화재 보존, 민속학 및 인류학의 데이터베이스화에도 활용되고 있다.
○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및 로봇 비전(robot vision)은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으로부터 2?3차원 정보를 추출하여 물체인식 및 추적(video tracking), 무인 로봇의 자율주행(UGV), 차세대 방송 및 TV(3D TV), 지능형 자동차(intelligent vehicle), 임베디드 비전(embedded vision), 3차원 의료 정보(3D medical information), 모바일 3차원 컨텐츠(mobile 3D contents), 영상 특수 효과(DVFX), 디지털 문화재 복원(digital restoration)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학문이다.
? 라이더(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의 빛을 멀리 있는 물체에 비추어 반사된 빛을 검출함으로써 거리나 속도를 측정하고 물체의 종류 또는 모양을 알아내는 방법을 말하며, 레이저 레이더(laser radar)라고도 한다.
○ 로봇 산업의 특징은 지능형 로봇 자체가 갖고 있는 기계적인 특성상 자동차산업과 같은 기계산업이면서 PC나 반도체산업과 같은 IT 산업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다. 로봇이나 자동차는 반도체와 같이 하나의 칩만으로 구성된 것도 아니며, PC처럼 정적인 시스템도 아니다. 로봇의 핵심 부품으로는 시각 센서, 공간인식 센서, 위치 센서 등 센서 기술에 의해 지능화의 수준이 결정된다.
? 미래형 자동차의 지능 수준이 로봇 이상이 되기 위해서는 시각, 위치 및 형상을 계측하고 분석하여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런 자동차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카메라와 컴퓨터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 자동차 진화의 미래는 밝다고 볼 수 있다.
- 저자
- Kosuke Sa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3(5)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5~60
- 분석자
- 심*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