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뇌를 통해 배우는 제어 시스템

전문가 제언
○ 1947년 미국 수학자 Norbert Wiener를 중심으로 하는 과학자의 그룹은 생물 및 기계를 포함하는 계통에서 제어와 통신 문제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을 Cybernetics라고 이름 지었다. 어원은 키잡이를 뜻하는 그리스어 kybernetis에서 유래되었다. Cybernetics는 생물과 인간이 만든 기계에서의 통신과 제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보다 철학적인 정의는 개척자 중 한사람인 Louis Couffignal이 "행동의 효율을 확실히 하는 기술(the art of assuring efficiency of action)"이라 정의하였다.

○ 컴퓨터 분야에서는 생물체의 신경계를 연구하여 기계의 제어 시스템에 도입하기 위한 학문으로서 정보 이론, 자동제어 이론, 자동 컴퓨터 이론 등에서 사용한다. 인공두뇌를 위해 뉴런(neuron)이라는 신경 세포를 사용하거나 인조인간인 사이보그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 Feedforward network는 feedback을 가지지 않거나, loop 연결을 가지지 않는 network을 의미한다. 우리의 눈 뒤에 있는 신경망들은 수백만 년의 진화로 완성된 명령에 따라 형성된다. 아직도 우리는, 여러 가지 과제 수행을 위해 디지털 신경망을 어떻게 연결해야 하는가를 알아내려고 애쓰고 있다. 그러나 지난 50년 동안 디지털 신경세포를 사용한 끝에 우리는 신경망의 작동 방식에 대해 한두 가지 사실을 알게 되었다. Feedforward Control은 사건 발생 이전에 제어를 하는 것이고 Feedback Control은 사건 발생 이후에 제어를 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다.

○ 사람의 뇌는 신체의 모든 부분을 통합제어 하는 사령탑으로서 가장 신비에 싸여 있는 기관이다. 인공두뇌에 관한 인간의 노력은 인간과 같은 수준은 아닐지라도 비슷한 수준에 이르게 되었으며, 그 역할은 가히 위력적이 되어 가고 있다. 로봇에게 지능을 준다거나 하여 산업 현장이나 복지 향상에 유효하게 활용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반대급부인 윤리적인 문제를 비롯한 여러 가지 위협적인 문제의 해결과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인류에게 가공할 만한 위협으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
저자
Masao 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63(5)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85~90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