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동형 매체를 위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법 및 장치

전문가 제언
○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의해 콘텐츠 소유자와 서비스 제공자들은 콘텐츠를 안전하게 배포할 수 있으며, 콘텐츠 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동시에 최종 사용자의 콘텐츠 사용을 통제하여 콘텐츠 관련 사업 또는 계약을 추진할 수 있다.

○ 인터넷이 대중화되고 사진·음악·동영상 등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 복제와 무단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했다. 초기의 DRM 기술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지털 음악·동영상·전자책 등과 같은 유료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DRM 기술은 최근 모바일, 기업문서 보안, 디지털 방송 등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콘텐츠 보호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콘텐츠 생산·관리·유통, 사용료 부과, 결제대행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개념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 DRM 관련 제품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08년도에는 2007년도 매출액 대비 6.2% 증가한 약 376억 원 정도이다. 국내 DRM 시장은 대기업 시장의 급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국제 표준인 공통평가 기준에 의한 DRM 제품 인증제도의 정착에 따라 해외 DRM 시장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도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 국내에서는 2009년 7월부터 시행된 저작권법 개정안에 의해 상습적으로 저작권을 침해하는 이용자 및 게시판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소위 3진 아웃제가 시행되고 있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방송 콘텐츠를 쉽게 거래할 수 있는 「디지털 유료 방송 콘텐츠 유통 시스템」도 운영되고 있다.

○ 이 발명에서는 이동 매체에 의한 디지털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DISC 등 이동 저장매체에 의한 유료 콘텐츠 판매방식 연구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저자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8875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7
분석자
고*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