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쉬운 디스플레이를 목표로 한 전자종이 기술
- 전문가 제언
-
○ AD 105년에 중국 후한의 채륜이 발명한 종이는 정보의 저장 및 전달 매체 역할을 약 2000년간 잘 수행하고 있다. 종이로 만든 책은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에 깊이 파고들어 오늘날 커뮤니케이션 매체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지식정보 사회의 변화를 선도하며 새로운 차원의 지식정보 전달매체의 변모를 요구하고 있다.
○ 이에 따라 지금까지 종이가 갖지 못한 이 요구사항을 전자 디스플레이가 수행하였다. 그러나 전자 디스플레이는 종이보다 시인성이 부족하고, 부피가 크며,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종이와 전자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극대화한 형태로 전자종이에 관한 실용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전자종이는 우수한 시인성, 대조비, 천연색 표시, 저렴한 가격, 휴대 간편성, 소비전력 최소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어 최근에 전자종이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읽기 쉬운 디스플레이를 목표로 한 전자종이 기술을 고찰하였다.
○ 정보전달 및 공유방식으로의 대변환의 필요성에 부응하는 전자종이는 읽기 쉬우며, 표시 및 소거가 용이하고, 동영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빠른 응답속도, 표시 유지를 위한 적은 전력소모 등이 요구된다.
○ 전자종이는 현재 옥외간판, 유통시장에서 POP(Point Of Purchase)의 용도로 시범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형태의 인터넷 기기, 전자책의 정보표시 매체 등으로 이용될 전망이며, 현재 그 상용화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전기영동현상에 기반을 둔 기술이 전자종이의 상용화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완전한 컬러와 동영상 구현을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그 연구 성과가 기대된다.
- 저자
- Makato OMODA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47(3)
- 잡지명
- 光技術コンダクタ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5~20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