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상의 생체안전성에 관한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화

전문가 제언
○ 최근에 핸드폰으로도 영상을 촬영하고 쉽게 고정밀 컴퓨터 그래픽스 영상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촬영한 영상을 가정에 있는 TV에서 시청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상에서 불특정 다수인에게 영상을 배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영상 이용 가능성 확대는 교육,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영상의 생체안전성에 관한 연구개발 및 국제표준화를 고찰하였다.

○ 일반인들도 영상을 배송할 수 있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창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상은 경우에 따라서는 시청자에게 시각피로 등 건강상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실제로 최근에 영상에 의한 건강상 피해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매스컴을 통하여 볼 수 있다. 영상에 의한 건강상 피해를 경감시키는 일은 영상을 안심하고 이용하며 즐기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일이다. 또한 이와 같은 환경을 정비함으로써 영상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 최근에 영상에 의한 생체영향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가 다양한 형태로 발표되고 있다. 특히 영상중독, 입체영상에 의한 시각피로에 관한 연구결과가 관련 학회지에서 발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영상의 생체안전성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이 2007년부터 개최되어 관련 연구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영상의 생체안전성은 영상 제작자의 표현 및 창조의 자유를 충분히 배려하고 시청자의 안심?안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영상의 생체안전성 가이드라인의 규격화를 위해서는 인간공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규격화 과정에서 이해관계자 간의 조정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영상 제작자, 이용자 모두가 영상기술 발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환경을 정비해야 한다.


저자
Hiroyasu UJIK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47(3)
잡지명
光技術コンダクタ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8~14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