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과 노화 II : 칼슘 항상성
- 전문가 제언
-
○ 세포 내 Ca2+ 농도의 증가는 세포 내 저장소에서부터 Ca2+ 방출에 의하여 그리고 원형질막을 통해서 Ca2+ 유입에 의하여 일어난다. 소포체(ER)는 가장 중요한 Ca2+ 저장소이다.
○ 잘못 접힘이 된 단백질의 축적과 Ca2+ 항상성의 장애 축적이 특징인 ER의 스트레스는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하여 유도될 수 있다.
? ER 스트레스는 접힘이 안 된 단백질 반응과 같은 방어기작을 유도하고, 그것이 심하고 오래될 때 세포자멸사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 ER의 손상, 기능장애 및 Ca2+ 취급 단백질의 수준 감소는 ER 스트레스 반응을 약화시켜 생리적 노화에서 모든 역할이 끝났는지 모른다.
? 따라서 건강한 노화는 ER Ca2+ 부하 및 방출의 변경을 포함하는 Ca2+ 항상성과 신호의 미묘한 변경이 수반된다.
○ 리아노딘 수용체, IP3 수용체, ER 막에 있는 SERCA Ca2+ 펌프 및 ER 관 내강 내의 Ca2+ 결합 단백질의 발현과/또는 기능은 모두 나이 든 세포에서 영향을 받는 것 같다.
? 신경계와 면역계뿐만 아니라 골격근, 심장근육과 평활근에서 ER과 관련된 Ca2+ 항상성의 연령의존성과 특정 조직 변화가 제시된다. Ca2+ 항상성과 신호의 장애는 나이 든 사람에서 중재를 위한 잠재적 표적이다.
○ 세포질 Ca2+ 항상성 장애와 관련된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자수준의 기작 연구 및 치료 효과와 부작용이 포함된 철저한 임상연구가 전제되고, 특히 고혈압과 심혈관 질환으로 고통 받는 초로의 환자에서 약제의 사용은 더 신중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Monika Puzianowska-KuznickJacek Kuznicki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3)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60~172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