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와 열량 제한 동안에 핵과 사립체의 의사소통 조정
- 전문가 제언
-
○ 사립체는 에너지 생산, 세포자멸사 및 Ca2+ 항상성을 조절하여 환경 신호를 통합하는 동적 세포기관이다. 사립체의 기능장애는 노화 및 연령과 관련된 질병에서 관찰된 병리와 연관된다.
○ 사립체 단백질의 대다수는 핵 유전체에서 암호화되어서 핵과 사립체 사이 의사소통은 적합한 사립체의 기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 여러 가지 단백질은 세포의 생리적인 요구에 대한 반응에서 사립체 유전자의 전사를 증가시키는 사립체 유전자의 발현에 주요한 조절인자로 알려졌다.
○ 이 검토에서 PGC-1?, SIRT1, AMPK 및 mTOR에 집중하고 이들 단백질이 노화, 열량 제한 및 연령과 관련된 질병에서 사립체 기능과 그들의 잠재적인 병 발생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토론하였다. 또한 사립체가 핵으로 통하는 신호경로를 토론하였다.
○ 비록 역신호가 포유동물에서 잘 연구되지 않았더라도 미래 노화 연구를 위해 중요 분야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제안하는 증거가 늘고 있다.
○ 사립체와 핵의 의사소통 기작에 관한 더 큰 이해는 노화 동안에 생기는 사립체 기능장애를 감속 또는 복구하는 노력을 손쉽게 해줄 것이다.
○ 나이가 들수록 ATP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노화가 ATP/ADP 비율의 변경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이 비율의 혼란에 대한 세포질 신호 경로 감도의 변경과 관련이 있는지 아닌지도 역점을 두어 다루어야 할 중요한 장래의 연구 과제이다.
○ 인슐린 분비와 포도당 항상성에 관한 SIRT1의 효과는 PTP1B와 UCP2 발현의 조절을 제한하지 않는 것 같고, PGC-1?, FOXO1 및 NF-κB를 포함하는 다른 표적에 대한 SIRT1의 효력이 인슐린 신호 특수 반응 배경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에 역점을 둔 장래 연구는 중요할 것이다.
- 저자
- Lydia W.S. Finley, Marcia C. Haigis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8(3)
- 잡지명
- Ageing Research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3~188
- 분석자
- 정*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