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백질 생합성과정의 Lac operon전사 활성을 높이는 S-글리코 덴드리머의 합성

전문가 제언
○ Escherichia coli 락토스 오페론이 유전자 규제의 모델이 될 수 있음이 알려진지 30여년이 지났다. 이 모델에서는 어떻게 한 쌍의 구조 유전인자가 성장매질 중에서 배위하고 대사농도에 의존하여 전사 또는 억제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 세포외 락토오스가 존재하지 않을 때 억제인자는 operator DNA에 강하게 결합하여 각각 lacZ, lacY와 lacA가 코드하는 β-갈락토시다아제, lac 퍼미아제와 트랜스아세틸라아제의 전사를 방해한다.

○ lac 억제인자는 3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로 분자량이 154,520인 호모 4량체에 결합되어 있다. 천연 유발인자는 락토오스로서 β-갈락토시다아제와 부반응을 일으켜 알로락토오스가 된다. 그러나 β-갈락토오스의 기질이 아닌 불필요한 유발제 이소프로필 β-D-티오갈락토오스는 탄수화물-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경유하여 락토오스 오페론의 전사를 기동시킨다. 최근 밝혀진 바에 의하면 lacY에 엔코드 된 lac 퍼미아제를 갖지 않은 IPTG는 세포 내로 투과된다. 인식과정은 탄수화물-단백질, 탄수화물-탄수화물 상호작용에 기반을 두고 있다

○ 고분자의 골격에 당류잔기를 포함하는 몇 가지 글리코 고분자는 다중 인식에 의해 단백질에 대한 친화력을 증진시키는데 Aoi 등은 덴드리머 골격을 채택하고 이에 당류 기능기를 도입하였으며 Matsushita 등은 주기적으로 글리실화 된 올리고핵산을 사용하면 렉틴 등의 단백질과 친화력이 증가된다는 사실이 보고되었다.

○ 본고에서는 lac 억제 단백질을 가지는 글리코 덴드리머의 클러스터 효과를 이용하여 lac 오페론을 활성화시킴으로서 DNA로 엔코드 된 단백질을 높은 속도로 생합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글리코 덴드리머를 사용할 목적으로 글리코 덴드리머 합성과 이를 이용한 단백질 생합성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합성화합물을 이용한 최초의 단백질 생합성의 예로서 흥미로운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저자
AKINORI TAKAS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9
권(호)
47(1)
잡지명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A: Polymer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10~314
분석자
마*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