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아닐린의 합성, 가공과 활용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폴리아닐린에 대한 전체적인 제법, 가공성 및 용도 등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비교적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특히 아닐린을 전도성 폴리머로 만들었을 때 다른 전도성 폴리머보다 여러 면에서 우수한 전도체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 폴리아닐린 폴리머에 대한 용도에 따라 그에 맞는 특수한 합성법 및 폴리아닐린의 전기전도 기구를 자세히 기술했고 전도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하여도 논의하였다.
○ 폴리아닐린의 효과적인 이용에 대한 문제와 이를 극복하기위한 방법도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폴리아닐린의 가능한 응용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전도성폴리머의 연구는 과거 20여 년간 이론적, 공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활용되어 왔다. 그 중 특히 폴리아닐린에 대한 전기전도성이 중합방법 및 dopant의 doping에 따라 특히 우수함이 알려졌으나 그 반면에 아직도 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에 대한 관계는 충분히 해결되지 못했다.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 이 논문은 제목에서 밝힌바와 같이 폴리아닐린을 전도성재료로 사용하기위한 폴리머의 제법, 가공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고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도성재료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와 이에 관계되는 사람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ambhu Bhadra. Dipak Khastgir, Nikhil K. Singha, Joong Hee Le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34(8)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83~810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