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신질환 치료약의 처방

전문가 제언
○ 오늘날 의료행위에 있어서 정신병은 환자의 행동과 임상상의 관찰을 기초로 하여 분류한다. 이는 미국에서 쓰고 있는 정신병진단의 표준지침서인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에서 채택되었다. 가장 최근의 DSM은 형식상 9가지의 장애로 분류하고 있다.

○ 환자의 행동이나 임상상의 관찰은 외부에 나타나는 이상증상을 보고 판단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뇌 내 조직상의 생리활성물질의 변환에 의한 메커니즘을 규명하지 못하는 것이 중요한 한 원인이 된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과 감정에 원인이 있는 뇌질환은 실험동물로도 현대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규명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 운동장애와 같은 파킨슨병은 흑색질(Substantia Nigra)이라고 부르는 작은 중뇌에서 Dopamine을 분비하는 뇌세포의 감소에 의해 일어난다고 하는 원인의 규명이 가능하지만 여기서도 이들 뇌세포의 감소원인에 대한 연구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 그러나 통합실조증이나 기분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의 원인이나 메커니즘의 규명은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다만 뇌 내 신경전달물질들의 수용체에 대한 작용약제들만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개발의 목표가 주로 다양한 수용체에 대한 작용과 약제의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이 때문에 최근 개발된 비정형 항정신병약들도 대부분 Dopamine 수용체, Serotonine 수용체, α1-Adrenorecptors, muscarine 수용체, Histamine 수용체를 포함한 광범한 수용체들에 작용하며 상대적으로 부작용도 적은 약제들이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수용체에 작용하면서 혈액뇌관문을 통과할 수 있는 새로운 약제의 개발과 함께 다양한 정신질환의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자
Yoshi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85~2689
분석자
백*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