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트랜스퍼 어시스트 로봇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일반적으로 고령화 사회란 총인구 중에 65세 이상의 인구비율이 증가하는 사회를 말하며, 특히 그 비율이 7% 이상을 차지할 때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2000년에 65세 이상의 인구 구성 비율이 7.2%)에 진입하였으며, 이제는 그 비율이 14% 이상인 사회(2019년에 14.4%)를 향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실버산업의 수요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 유럽의 경우 1990년부터 10년간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종합 기술지원 프로그램인 TIDE(Technology for Inclusive Design and Equality) 프로젝트를 수행했으며, 일본도 1990년부터 총예산 6조 엔의 고령자 복지 10개년 계획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프로그램은 주로 복지차원에서만 이루어져 왔는데, 앞으로는 실질적이고 능동적인 활동을 원하는 정보와 지식을 갖춘 공학기술 개발이 무엇보다도 질실히 요구된다.

○ 지금까지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보조 로봇에 대한 휠체어 시스템, 지능형 주거 공간, 지능형 침대, 식사보조 로봇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 국한되어 있었다. 물론 이러한 분야는 장애인과 노약자들의 생활에 꼭 필요한 분야임에는 틀림없으나 그들이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자신의 가치와 자존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 일본의 Panasonic(주)에서는 생활지원 로봇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간병 분야의 로봇으로 간병인이 피간병인을 옮기는 행위로서 “이승개조”를 지원하는 트랜스퍼 어시스트 로봇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이 로봇에는 파워 모션 어시스트 기술이 적용되어 동작경로의 생성, 가상 퍼텐셜 에너지의 생성, 그리고 로봇 동작의 생성을 실현시킨다.

○ 장애인과 노약자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들을 돌보고 생활지원을 해야 하는 간병인의 인력이 급증하게 될 것이며, 이러한 노동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생활지원 로봇 개발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Takenori Miyosh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188
잡지명
ロボッ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53~57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