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맞춤형 환자 로봇의 개발과 실용화

전문가 제언
○ 뇌혈관 질환은 뇌혈관의 이상에 의해 갑자기 뇌기능 장애를 일으켜 쓰러지는 병으로서 발병 형태에 따라 두강 내의 혈관 일부가 파손되어 출혈하는 출혈성과 혈관 속의 혈액 흐름이 나빠지거나 막히기도 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으로 구별된다. 출혈성 뇌질환은 뇌 안으로 피가 터져 번지는 뇌실질 내 출혈과 뇌 밖의 자주막 하강으로 터지는 자주막 하 출혈로 나누어지며, 그 원인에 따라 고혈압성, 뇌 동맥류, 뇌동적 기형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 혈관 조영술이란 방사선(X-ray)을 이용한 혈관검사이며, 방사선과 전문의가 체외에서 카테테르(catheter)라는 가능 관(2㎜ 내외)을 환자의 혈관으로 넣고 조영제를 주사하여 X-ray 상에서 혈관을 볼 수 있게 하는 검사이다. 이때 X-ray 상에서 혈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병소의 위치, 병의 진행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이다.

○ 최근 들어 혈관 안쪽에서 환부를 치료하는 저침습 수술방법인 혈관 내 카테테르 수술이 급속히 보급되게 되었다. 그 일환으로 환자 로봇 ‘Eve’는 원격수술 시스템이나 앞쪽 끝의 굴곡을 조작할 수 있는 능동 카테테르 등의 실용성 평가를 목적으로 작성한 혈관모형이 계기가 되어 개발되었다.

○ 혈관모형은 환자의 임상 데이터로부터 작성할 수 있으며, 환자 개개인의 수술 리허설에 이용할 수 있는 정밀 혈관 모델 개발에 착수한 것이 수술 시뮬레이터 ‘Eve’ 탄생의 첫걸음이 되었다. 혈관 내 수술 시뮬레이션을 위한 맞춤형 환자 로봇 ‘Eve’는 수술하는 로봇이 아니라 혈관 입체 모델을 체내에 구비한 환자 로봇이다.

○ 이 ‘Eve’가 프로토타입의 제품일 때는 셋 업(set up)하는 데 1시간 이상이 걸렸고 혈관의 강도가 일정하지 않았으며, 혈압에 의한 돌연 파열도 있었다. 1년여에 걸쳐 이러한 문제점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감으로써 2006년 12월에 드디어 실용성 있는 제품으로서의 ‘Eve’와 혈관 입체 모델을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의료계에서도 의료, 복지 로봇 개발의 일환으로서 환자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저자
Shoichi Ik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09
권(호)
188
잡지명
ロボッ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6~20
분석자
이*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