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외과의가 본 전이: 간 전이에 관해서

전문가 제언
○ 암세포가 간질로서 침윤과 혈관 내로 침입에 있어서 암세포는 원발소(原發巢)에서 주위로 증식하여 침윤성으로 발육하게 된다. 조직학적으로 암세포의 침윤은 먼저 기저막(基底膜)을 파괴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간질로 퍼져나가게 된다. 우연히 만나서 혈관 내로 침입함으로써 혈행성 전이가 이루어지며, 암의 침윤은 암세포가 세포외기질을 부분적으로 파괴하면서 기질에다 접착을 하여 유주하며 이동해 가는 현상이다.

○ 암세포의 혈관내피세포로의 접착에 있어서 암세포와 혈관내피세포와의 접착에 관계하는 분자는 림프구의 귀소본능이나 백혈구의 염증부위로의 침윤의 메커니즘이 힌트로서 연구가 진전되고 있으며 Selectin과 Integrin이 중요한 여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대부분의 소화기암의 암세포는 문맥으로 침입하여 암세포의 색전(塞栓)을 여러 차례 거치면서 간의 혈관내피세포에 미세한 상처를 입힘으로써 이들 접착분자의 발현이 항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유동내피세포는 장관에서의 세균이나 독소에 늘 폭로되고 있어 접착분자의 조절상승(UP- regulation)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소화기의 암이 간 전이를 높은 빈도로 일으키는 것은 Mechanical-ana- tomical theory로 생각하게 되며 복강 외의 암에서는 간 전이를 일으키기 쉬운 암과 그렇지 않은 암이 존재하고 있다. 난소암, 백혈병·림프종, 유암, 폐암은 높은 빈도로 발생하고 있으나 전립선암,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낮다. 이러한 설명에는 Seed and soil theory의 학설을 생각하게 한다.

○ 이와 같이 소화기계 암세포 및 전이의 발생의 메커니즘은 아직 상세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간장조직의 미소환경에 적응하는 암세포가 전이를 형성한다는 것은 분자수준에서 생각해 보면 암세포와 장기 미소환경(세포, 기질)과의 접착성 및 미소환경이 암세포에 적응됨으로써 증식인자 및 혈관신생인자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암 전이에 관한 메커니즘이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저자
Nariaki Matsuur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28(7)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38~643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