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전이(Cancer Metastasis) 모델
- 전문가 제언
-
○ 일반적으로 동물의 전이모델로서는 같은 종류의 동물에다 암을 발생시켜 이식이 가능한 세포 주를 이용한 동종의 이식전이모델과 인간의 암 세포를 면역부전동물(SCID: Severe Combined Immunodeficient 마우스)에 이식한 이종의 이식전이모델이 제작되어 실제로 암 전이모델로서 동물실험에 이용되고 있다.
○ 암의 전이는 여러 가지 분자메커니즘이 복잡하게 서로 얽히면서 이루어지는 암 전이의 분자학적 메커니즘이며 전이모델은 그의 분자메커니즘에 맞추어서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동물실험모델에서는 인간 암의 특징을 나타내는 모델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 인간과 마우스에서는 정상적인 조직 구축에 관계하는 분자메커니즘이 서로 다름으로 인하여 실제의 인간 암 전이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모델의 제작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근년에 와서 인간의 암 조직을 이식한 암 전이모델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인간의 암 전이모델로서 종양에 관한 새로운 지식과 경험이 자주 보고되고 있다.
○ 암 발생의 분자메커니즘으로서 암 줄기세포모델이 요즘 크게 주목받고 있다. 암 줄기세포는 종양형성의 기능으로서의 작용뿐만 아니라 전이를 형성하는 세포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 암 줄기세포를 유지하는 메커니즘은 미소환경에 의해서 존재하게 되며 암의 전이도 암과 전이가 발생하는 장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인간 암 치료를 목적으로 한 전이모델 제작에는 인간과 실험동물의 관련 동물종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함과 동시에 생리적으로 인간의 암 전이작용에 보다 가까운 모델일수록 인간의 암 치료에 획기적인 성과가 얻어질 것으로 믿는다.
- 저자
- Atsushi Ochi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28(7)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50~654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