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층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저항피막형 전파흡수체 개발
- 전문가 제언
-
○ 최근 전자 기술과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은 우리 사회와 가정에 이르기까지 편리함을 주는 대신에 전자파 발생에 기인하는 전파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파 장해에 대한 대책이 사회적인 문제로 되고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국제적으로 CISPR, 미국에서는 FCC, ANSI 등의 규제가 제정되었고, 우리나라도 전자통신용 장비의 전자파 장해(EMI)/전자파 양립성(EMC) 규제를 만들어 수출에 대비하고 있다. 따라서 EMI/EMC 규제에 대비한 전자파 차폐 및 전자파 흡수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 전파흡수체에서 전파흡수란 전파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일종의 열변환기라고 볼 수 있다. 전자레인지에서 음식을 가열하는 것은 전파흡수 현상을 이용한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전파흡수에서 흡수 메커니즘은 근본적으로 물질이 고주파손실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용 재료에 따라서 크게 도전손실 재료, 유전손실 재료 및 자성손실 재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재료 중에서 페라이트 전파흡수체가 주로 공명현상에 의한 자성손실을 이용한 것으로 두께가 비교적 작고, 정합주파수가 다양하여 산업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전파흡수체의 성능은 정합주파수, 두께, 반사 감쇠량 및 대역폭 등으로 평가되는데 고성능 전파흡수체란 두께가 얇고 대역폭이 넓은 전파흡수체를 의미한다. 또 복소 전파흡수에서 특성은 복소투자율, 복소유전율, 주파수, 두께 등의 인자에 의하며 이 중 복소투자율 및 복소유전율로 정의되는 재료정수는 복합 전파흡수체의 성능을 가늠하는 인자가 된다.
○ 전파흡수체로 많이 사용되는 페라이트 또는 그 복합체의 전파흡수체 대신에 최근 첨단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여러 분야에 응용되는 카본 나노튜브의 전파흡수체로서 응용이 연구개발 되고 있다. 이는 카본 나노튜브의 경우 기존 흡수체에 비하여 가볍고, 두께도 작게 할 수 있고 광대역 주파수 특성 등 장점 때문에 이를 이용한 전파흡수체가 일본 등 선진국에서 개발되고 있다. 이 글에서 기술한 다층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한 저항피막형 전파흡수체는 이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 저자
- Tarumoto Naohir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57(2)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5~69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