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암실용 크로스웨지형 복합전파흡수체
- 전문가 제언
-
○ 최근 공중파 방송, 무선통신 등 외래전파가 증가하면서 전자기기에 대한 전자파장해 시험이 오픈 사이트에서 수행하기가 어렵게 되어 외래전파를 차단하거나 외부로 전파가 방사하는 것을 막는 시설 즉, 전파암실이 필요하게 된다.
○ 전파암실은 외부에서 오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고 또한 외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전자기적으로 격리된 폐쇄공간이며 또한 내벽에 전자파가 반사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파암실은 사용목적에 따라
① EMC용 전파암실 : 오픈 사이트를 기준으로 EMC 규격에 준하는 전파암실로 가전기기, OA기기, 통신기기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기기 관련제품의 전파방사, 내성 측정시험을 목적으로 한다.
② 자유공간용 전파암실 : 자유공간용 암실은 내벽면 6면에 전파흡수체를 설치해 전파적으로 무한 공간(자유공간)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 전파암실로 안테나의 방사패턴 측정 등에 사용된다.
③ 차량 측정용 전파암실: 주로 차량의 EMC시험과 안테나패턴 측정을 목적으로 하고 마루 면에 대지상당 마루가 사용되는 점이 특징이다. 기타 안테나 특성의 고정밀도 측정을 위한 원거리 조사용 전파암실 등이 있다.
○ 전파암실에는 전파를 흡수하여 전파의 반사를 방지하는 전파흡수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전파흡수체는 재료에 입사한 전파의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전파반사를 방지한다. 그리고 전파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식에 따라 전파흡수체는 자성 흡수체, 유전성 흡수체, 도전성 흡수체로 분류된다. 전파흡수체는 넓은 주파수 영역, 박막층 구조, 경량화 및 시공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 전파암실의 성능은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전자방해파의 사이트 감쇠량 측정에 의해 평가되는데 CISPR22 또는 ANSI C63.4 등에서 규정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안한 복합 전파흡수체는 이러한 규격을 만족하여 전파흡수체의 저비용, 경량화, 박막화로 시공성도 양호하여 앞으로 그 실용화가 기대된다.
- 저자
- Kurihara Hirosh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57(2)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55~60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