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가시광통신을 위한 차량 탑재 수신기의 진동 경감
- 전문가 제언
-
○ 1907년 영국의 마르코니연구소의 헨리 조셉 라운드에 의해 발견된 발광 다이오드는 그 후 이어진 실용적 개발을 통하여 오늘날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기기, 각종 계측기기의 표시장치, 핸드폰, 텔레비전, 인테리어에 이르기까지 낮은 발열과 고휘도, 긴 수명, 저소비전력, 빠른 응답성 등의 이점으로 크게 이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 가시광 통신은 가시광선의 파장(380~780nm)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로 최근 가시광 통신에는 반응속도가 빠른 LED가 이용되어 전자파의 간섭 배제, 신속한 통신 서비스 제공 등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이 LED가 광통신으로 이점이 있는 반면에 광의 속성으로 인해 장애를 일으키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 원래 조명용으로 개발된 LED를 광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휘도 향상, 광 송수신 모듈의 고성능화, 소형화 및 FTTH(Fiber to the Home) 광 가입자망과의 연동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배나 항공기는 자신의 방향을 알기 위해 관성항법 장치로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한다. 본고에서는 효율 높은 가시광통신을 위하여 LED를 사용한 차량통신에서 수신기의 진동으로 인한 수신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각가속도 센서의 하나인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신뢰성 높은 결과를 획득한 기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광통신 기술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이미 2008년도에 LED에 양방향 초고속통신 기능까지 갖춘 광통신 모듈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광기술원이 옵티시스와 공동 개발한 본 모듈은 통신 거리를 향상시키고 외부 광원으로부터의 간섭효과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적용해 수신 신호의 품질을 높인 것이다. 앞으로 초고속 정보통신 시스템 발전에 기여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Satoshi OKADA, Tomohiro YENDO, Masayuki TANIMOTO, Toshiaki FUJII, Yoshikatsu KIMUR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33(6)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45~149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