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미래를 개척하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방향

전문가 제언
○ 최근,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21세기 유비쿼터스 사회를 대비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 기술의 중심에는 NGN(Next Generation Network)이 자리 잡고 있어 NGN을 활용해 유비쿼터스 사회를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웹2.0으로 통칭되는 융합기술 시대로 진입하고 있으며, 자동차, 조선 등의 전통산업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이 기술, 서비스, 산업 영역 등에서 나타나고 있다. 미국, 일본, 유럽 등의 국가에서도 기술 간 융합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 NGN은 ITU-T가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IP기반의 차세대 네트워크이다. 2003년 7월에 ITU-T가 개최한 NGN 워크숍에서 NGN의 국제표준화가 제안되었으며, 현재 세계 주요국가에서 NGN을 활발하게 구축하고 있다.

○ IP기술을 활용하고 안심?안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NGN 개념을 일본이 제안하였으며, 유럽에서는 2003년 9월에 이미 IMS(IP Multimedia Subsystem)를 고속 광대역 액세스에 적용한 차세대 네트워크를 검토하기 시작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정보 인프라를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과 기술을 이용한 광대역통합망(BcN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광대역통합망 사업을 범국가적 프로젝트로 추진함으로써 미래 정보통신 신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각종 첨단기술 개발 프로젝트의 핵심 기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 광대역통합망 사업을 통하여 전달망(Transport Network)의 고도화 추진, 가입자망(Access Network)의 광대역화 추진, 유비쿼터스 접속환경의 구축 등을 실현한다. 광대역통합망 사업은 2010년까지 추진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정보통신 인프라가 크게 향상되고 있다.

저자
Noridaka UJ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21(4)
잡지명
NTT技術ジァ-ナル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4~33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