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오파지로 병원균 박멸시키기
- 전문가 제언
-
○ 항생제 내성 병원균들이 많아지면서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한 질병 퇴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파지 치료법은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동유럽에서는 파지 치료가 널리 그리고 꾸준히 사용되어 왔는데도 불구하고 서구의 현대 의학에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 의문을 가지게 한다.
○ 파지가 항생제보다 우수한 장점이 될 수 있는 것은 숙주세균 속에서 자신을 복제하는 것으로 감염된 균 주변에 존재하는 균들을 다 사멸시킬 때까지만 증식한다는 것과 일반적으로 특정 세균만을 공격한다는 점이다.
○ 1943년 Dubos 등은 마우스를 Shigella dysenteriae로 감염시키고 파지로 치료하는 실험을 하였다. 1982년 Smith와 Huggins가 마우스와 가축에 대해 행한 대장균(E. coli)에 대한 실험이었다. 대장균 외피의 K1 항원을 인식하는 파지를 근육주사하고 E. coli생균을 근육이나 뇌에 공격시켰을 때 여러 가지 항생제(tetracycline, chloramphenicol, ampicillin 및 trimethoprim+sulphafurazole)를 한꺼번에 근육주사한 군보다도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2006년 8월 18일 FDA는 미국 Intralytix Inc.의 박테리오파지 제품 LMP-102의 사용을 허가했다. 여섯 가지 파지가 들어있는 이 제품은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균(Listeria monocytogens)에 대한 항균제로서 인스턴트 고기 및 가금류 제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제품은 170여 종의 리스테리아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고기 제품에 뿌려 사용된다.
○ 네덜란드의 식품안전 파지 회사인 EBI Food Safety는 위험한 식중독균에 대한 천적 파지 제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 회사는 모든 제품에 대해 GRAS(Generally Recognised As Safe)인증을 받았으며, 리스테리아균 제품 LISTEX P100은 USDA와 FDA 인증을 받았다.
- 저자
- John N. Housby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9
- 권(호)
- 14(11)
- 잡지명
- Drug Discovery Toda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36~540
- 분석자
- 장*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