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신경화증에서 anti-topoisomerase 1 자가항체의 작용

전문가 제언
○ DNA는 기본적으로 2중 나선 구조를 만들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이 2중 나선은 다시 꼬여 초나선(supercoiled) 구조를 만든다. 이와 같은 초나선 구조의 변화를 유도하는 효소가 DNA topoisomerases이다. 이들 효소는 2중쇄 DNA의 한 가닥을 절단 및 재결합하는 Ⅰ형과 2가닥을 모두 절단 및 재결합하는 Ⅱ형으로 분류된다.

○ Ⅰ형 중에는 원핵세포에서는 부(負)의 초나선만을 이완시키는 ω단백질, 진핵세포에서는 정부(正負)의 초나선을 이완시키는 nicking-closing 효소 등이 알려져 있다. Ⅱ형 중에는 원핵세포에서 부의 초나선을 도입하는 DNA gyrase, 진핵세포에는 정부의 초나선을 이완하나 초나선의 도입은 불가능한 topoisomerases 등이 있으며, 이 Ⅱ형은 ATP 의존성이다. 최근에는 암세포의 topoisomerase를 저해하는 약제가 항암제로 개발되었다.

○ 경화증(sclerosis)은 염증 및 간질(間質) 질환에 의해서 생기는 경결(?結) 또는 경화현상으로 주로 결합조직의 섬유화(fibrosis)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신경계와 혈관의 경화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가장 잘 알려진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은 중추신경계의 백질 전체에 탈초반이 일어나는 질병이다. 전형적인 증상은 쇠약, 운동실조, 지각이상, 언어장해 등이다.

○ 전신경화증(sytemic sclerosis)은 피부 또는 내장의 광범위한 부위에서 경화증상이 일어나는 질환이다. 특히 결합조직의 만성적인 경화 및 위축, 피부에서는 비후, 경화, 강직현상이 나타나며 착색된 반점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교원섬유의 증가와 종창, 탄력섬유의 소실, 망돌기의 위축, 기저세포의 멜라닌 침착, 칼슘 침착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 피부 전신경화증에서 항-topoisomeraseⅠ 자가항체가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항체는 전신경화증에서 매우 높은 특이성을 보인다. TopoisomeraseⅠ 효소 단백질 구조에서 항원성을 나타내는 영역(domain)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어 전신경화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이 항체의 역할에 대한 분자 기전이 점차 밝혀지고 있다.
저자
T. Czoempoely,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9
권(호)
8
잡지명
Autoimmunit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92~696
분석자
김*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