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지상파 디지털방송에서 자막을 주체로 한 휴대전화용 요약 콘텐츠 자동생성 기술

전문가 제언
○ 지상파 DMB방송과 위성 DMB방송 서비스로 휴대폰이나 GPS를 사용하는 내비게이션 등의 휴대 단말기에서도 TV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방송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한 줄짜리 자막은 이용자가 내용을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 효율적인 시간관리가 중요시되는 현대사회에서 각종 미디어는 이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쉽게 정보전달을 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특히 방송매체는 각종 뉴스정보, 일기정보, 경제정보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할 책임과 의무가 있다.

○ 본고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에서 휴대 단말기용 DMB 서비스를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자막 요약 콘텐츠의 자동생성에 관한 내용이다. 일반 지상파 방송에서의 자막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서비스로, 저장된 자막에서 필요 부분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원세그(one segment)’ 방식과 음성 및 자막의 동조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자막 방송에서는 표현되는 문자도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언어로 사용되는 알파벳의 경우 단어로 나열할 때 문장이 길어져 문자 서비스에는 적합하다고 볼 수 없으며, 중국어와 일본어에 사용되는 한자 또한 표음문자가 아니고 글자 수가 매우 많아서 사용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여 생방송의 실시간 자막 제공 서비스에는 어려운 면이 있다.

○ 이런 점들을 비추어 볼 때 표음문자인 동시에 짧게 표현이 가능한 한글은 음성의 분절과 단문 자막의 동조 서비스 면에서 문자통신에 가장 적합하고 효율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휴대폰의 확대 보급과 함께 문자 서비스가 폭증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 휴대전화용 DMB의 자막 요약 콘텐츠 자동생성 프로그램에 한글이 활용된다면 더욱 빠르고 정확한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의 발달로 모바일 문화가 한층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저자
Kazunori MATSUMOTO, Masaki NAITO, Keiichiro HOASHI, Wu Jian Ming, Yasuhiro TAKISHI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09
권(호)
33(6)
잡지명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技術報告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59~63
분석자
홍*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