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학 치료법: 개관
- 전문가 제언
-
○ 광역학 치료법은 광증감제라고 알려진 비독성의 의약품이나 염료를 환자의 상해가 있는 부분인 암 또는 다른 환부에 계통적, 국소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포시키고 붉은색의 가시광을 산소존재 하에 조사하여 세포에 독성을 보이는 활성종을 발생시켜 세포를 죽이고 조직을 파괴시키는 치료법이라 정의된다.
○ PDT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것은 특이성과 선택성을 가지고 있어 매우 매력적인 방법이다. 악성조직에 주로 PS가 분포되도록 하여 여기를 초점으로 광을 조사하면 PDT에 의해서 반응성 산소종이 발생하여 이것이 세포를 파괴한다.
○ PDT를 목표로 하는 분자나 세포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치료대상이 되는 세포, 사용하는 광증감제와 광의 조사조건이 서로 다르므로 PDT에 의한 치료효과는 다를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상반되는 결과가 얻어지는 경우도 있다.
○ PDT 처리과정에서 생성된 광증감제의 여기 3중항상태나 이로부터 생성된 히드록시라디칼이 어떠한 특정한 단백질과 높은 반응성을 가지며 또는 암 종양세포와 정상적인 세포사이에 PDT에 의한 파괴속도에 대한 이해가 아직도 부족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보이나 PDT는 암에 대한 외과적 수술법이나 화학적, 방사선 치료법에 비해 계속된 치료에 의한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PDT에 의한 분자, 세포, 조직 수준에서의 이해가 깊어진다면 앞으로 암 종양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고는 이제 개척단계에 있는 광역학 치료법의 개발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개관하고 있는데 앞으로 발전이 크게 기대되는 이 분야 연구의 귀중한 연구방향과 지침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C.A. Robert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96(1)
- 잡지명
-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
- 분석자
- 마*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