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신과 약물요법으로 처방되는 한방약과 그 효과

전문가 제언
○ 한방치료약의 특성에 있어서 한방약은 현대의학적인 병명은 아니며 한방의학적인 ‘증’에 맞게 처방하여 ‘수증치료’라 한다. 실제로 현대의학적인 병명을 가지고 한방약을 처방하는 ‘병명한방’이라 한다. ‘증’을 무시한 치료에서는 유해 작용이 출현하기 쉽다. 한방의학에서 ‘갈근탕’을 가하면 개선되는 증상을 ‘갈근탕증’, ‘억간산증’이라 하며 이것을 한방의학적 진단명이라 한다.

○ 한방의학에서는 치료를 행하기 위하여 방제명에 ‘증’을 붙인 것을 진단명이라 한다. 병명(증상명)이나 사용하는 방제가 일치하는 진단=치료라는 것이다. 많은 종류의 방제를 순번으로 처방하여 더욱 효과가 있는 방제의 증이 그의 증례의 증이 되는 것이나, 그와 같은 방법을 취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으므로 ‘사진’이라는 한방의학 특유의 진단법을 사용한다.

○ 정신질환에 대한 한방치료에 있어서 한방의학은 심신일원론의 입장에서 세워진 의학이라고 하는 것이 정신과의에 대단히 이해하기 쉬우므로 최근에는 한방약을 사용하는 정신과의가 증가하고 있고 실제의 정신과 임상에서 여러 가지 한방약을 처방하고 있다. 정신질환에 대하여 한방치료는 ①한방약 단독으로 치료하며 ②향정신약의 작용을 보하는 형으로 한방약을 병용치료하고 ③향전신약의 유해 작용(부작용)에 대한 한방약 병용치료로 분류된다.

○ 향정신약의 작용을 보하는 형으로의 한방약 병용치료에 있어서 통합실조증이나 중등증 이상의 우울병 에피소드 등의 증례에 대하여는 통상 향정신약으로 치료를 우선하고, 한방약 단독으로 치료를 행하지 않는다. 향정신약의 치료에는 완전히 제거할 수 없는 각종 증상의 치료에 한방약을 병용함으로써 그의 증례의 QOL(Quality of Life)을 높이거나 향정신약의 복용량을 감량하기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저자
Yamada 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41~2746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