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망에 대한 항정신병약

전문가 제언

○ 섬망이란 뇌기능의 실조에 의하여 일어나는 주의 장해를 수반한 경한 의식혼탁을 기반으로 하는 증후군이다. 불안 정신운동흥분, 환시나 환각, 인식의 장해 등의 정신증상을 발현한다.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카테터를 스스로 빼거나, 전도(轉倒)?전락(轉落) 등의 사고로 이어진다. 증상은 인지증과 유사하며 특히 고령자의 경우는 인지증과 오해하기 쉬우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발증은 수 시간에서 수일에 급격하며 하루 중에도 증상이 동요되나 증상은 일과성이며 일반적으로 가역성이다.

○ 섬망의 원인에는 직접인자, 촉진인자 및 준비인자의 3종류가 있다. 직접인자로는 수술, 약물, 뇌질환, 신체질환 등이며, 촉진인자로는 환경의 변화, 수면 방해, 정신적 스트레스, 신체구속, 감각 차단 등이 있다. 준비인자로는 고령, 인지증 등의 뇌 기질성장해 등이 있으며, 인자 2개 이상의 인자가 겹쳐서 발증하는 경우가 많다.

○ 섬망의 치료는 원칙으로 원인인 3인자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인의 동정이 곤란하며 치료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나 정신운동흥분이 현저할 경우에는 대증요법으로서 약물요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섬망에 사용하는 약물은 항정신병약이며 적응외 사용이 된다. 섬망의 기초질환과 약물치료에 있어서 제1세대(정형?종래형) 항정신병약물, 제2세대(비정형?신규) 항정신병약에 대하여 기술하고, 그의 사용상의 주의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 섬망은 많은 임상장면에서 만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그 원인은 여러 가지이다. 섬망의 발증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초기 징조를 놓치지 말아야 하며 천연(遷延)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대증요법으로서 사용하는 항정신병약에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으므로 약물치료를 행할 경우는 환자의 배경이나 상태에 맞는 효과적인 약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원인이 되는 요인도 빨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이 재발의 예방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자
Yoshimuea G, Yahada 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60(7)
잡지명
藥局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707~2712
분석자
김*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