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연구에서 혁신과 역량구축을 위한 과학, 기술 그리고 공학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혁신과 역량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및 공학”을 주제로 하여 서언, 유엔 밀레니엄개발목표와 과학?기술 및 혁신, 과학?기술 및 혁신에서 역량의 구축과 지역 및 국제협력, 국가발전전략으로의 과학기술 혁신정책 통합,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혁신은 글로벌경제에서 국가경쟁력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국가 차원의 혁신역량 구축은 무엇보다도 더 기업개발 인적자본과 과학기술혁신정책 역량을 위한 노력에 달려 있음을 부각시키고 있다.
○ 특히, 이 글에서 역량구축이 정부의 정책수립, 인력기술, 교육 및 R&D, 기업개발 및 혁신 등 모든 차원에서 요구되고, 개발도상국에서는 과학?기술 및 혁신을 위해 잘 훈련된 과학자, 엔지니어와 숙련기능이 필요하다는 점과 혁신을 위한 교육과 연구에서 대학의 역할과 기여가 중요하고, 연구자는 정책 주도 인센티브를 통해 기업 활동 과정에 적극 참여해야 하며, 과학기술 혁신은 국가발전전략의 중심에 놓여야 한다고 강조된 점이 주목된다.
○ 오늘날 교육, 연구 및 혁신은 전 세계적으로 경제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성취시키는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획기적인 과학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경계사회 모델의 모색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과학기술 혁신을 동력으로 경제발전을 이루고, 산업조정을 통해 기업을 발전시키며, 새로운 경제성장을 추구하도록 하는 정책이 확산되고 있다.
○ 21세기는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기술, 지식으로 변화되고 있으므로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다각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되며, 단순한 양적 성장에서 다양한 질적 성장을 추구하는 한편 창의적이고 독자적인 기술혁신 전략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대학의 두 기능이 교육과 연구라는 당면한 명제 앞에서 급변하는 환경에 적합한 정책방향의 모색이 필요하다.
- 저자
-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09
- 권(호)
- 잡지명
-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Reprot E/CN 16/2009/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1~17
- 분석자
- 장*복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