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초고강도 콘크리트용 고성능 감수제

전문가 제언
○ 건축 구조물들이 대형화, 초고층화가 되어감에 따라 보다 고성능의 기능을 가진 재료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부응하는 재료의 하나가 초고강도 콘크리트라고 할 수 있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1987년 미국 시애틀시의 한 고층 건물이 100 N/㎟을 초과하는 콘크리트로 시공된 것이 효시이다.

○ 일본에서는 설계기준 강도 100 N/㎟을 초과하는 콘크리트를 초고강도 콘크리트 (Ultra-High Strength Concrete)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미 초고층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에 적용된 사례가 많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개발이 완료되어 2007년에 울산시의 한 고층 건물의 특수 부재에 150N/㎟ 정도의 콘크리트가 시범적으로 시공한 바 있으나, 아직까지 초고층 건물에 본격적으로 시공한 사례는 없다.

○ 이와 같은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실리카 흄과 같은 초고강도용 혼화재와 함께 폴리카르본산계의 고분산형 고성능 감수제의 재료개발이 체계적으로 선행되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작업이 완성되어야한다. 그리고 사전에 충분한 재료 공급선에 대한 검토와 표준시방서를 비롯한 각종 시공지침과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도시개발에 있어서 토지이용의 효율성 및 건물의 방재성 및 공간 활용성 향상 등에 건물의 고층화가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초고층 건물의 신축이 기획되어 있고, 일부는 착공 단계에 있어 향후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요가 대폭 신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러한 시장수요에 대비하기 위하여 그동안 한국콘크리트학회와 관련 산업계에서는 많은 재료연구와 시공기술의 개발을 수행하여 왔다. 그 결과 250N/㎟ 급의 초고강도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에 접근해 가고 있다. 앞으로 초고층 건물의 착공이 본격화되는 시기가 도래하면 국내 업계는 독자적인 재료설계와 시공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Takumi Sugamat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44(6)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48~452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