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강도 콘크리트용 혼화재

전문가 제언
○ 콘크리트는 인류가 개발한 가장 보편적이고 경제적인 건설재료이다. 그러나 그 무게에 비하여 강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콘크리트의 고강도화이고, 1960년대 이후 미국에서 본격화 되었다. 1987년 시애틀시 쌍둥이 유니온 스퀘어(Two Union Square)빌딩은 세계 최초로 100N/㎟을 상회하는(실제 강도 133N/㎟)강도로 시공되었다.

○ 콘크리트를 고강도화 하는 방법으로는 ①물-시멘트비의 저감, ②잉여수분의 제거, ③공극의 충진의 3가지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종래의 전통적인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주로 감수제와 진동기를 사용하여 배합수량을 저감하는 ①의 방법이 주도하여 왔으나 이로서는 50~60 N/㎟ 강도가 그 한계라고 말 할 수 있다.

○ 100N/㎟을 상회하는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무수석고와 실리카 흄을 적절히 배합한 고강도 혼화재를 사용하여 에트린자이트를 생성시킴으로서 시멘트 경화체 내의 ②잉여수분을 흡수하여 최소화하고 ③공극을 충진하여 조직의 치밀화를 동시에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보다 구체적인 재료선정 기준과 배합비율, 시공기술 등은 건설사의 영업 비밀에 속하는 것이 많아 공개되지 않고 있다.

○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100N/㎟을 상회하는 초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이 급속히 진전되어 250N/㎟을 목전에 두고 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 시공된 것은 2007년 울산 엑소디움 주상복합건물 부재의 150N/㎟ 콘크리트가 있다. 프리 믹스한 특수시멘트와 현지 조달 골재를 사용해서 인근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해 현장타설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아직은 본격적인 시공이라고 하기에는 미흡하고 개발 성과를 실증해 보이는 수준이라고 판단된다. 가까운 장래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초고층 빌딩의 착공과 함께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시공이 본격화되리라고 생각된다.
저자
Masanob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44(6)
잡지명
セラミックス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43~447
분석자
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