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키오스크 방식의 재활용시스템

전문가 제언
○ 국내 폐기물 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은 폐기물 발생 저감, 재활용 및 안전처리 중심에서 쓰레기 제로 추진 및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정책수단 역시 종량제, ERP제도, 폐기물 처리시설 확충에서 감량화의 강화, 재활용산업 지원 확대, 에너지자원화 시설 확충으로 전환되고 있다.

○ 2012년 까지 생활폐기물 1인당 발생량은 0.9kg/일, EPR대상 생활폐기물의 재활용률은 60%로 정책목표를 정하고 있다. 종래 정책시행 결과 생활폐기물 발생량 감소, 음식폐기물 분리수거율 증가, 자원 재활용률 증가, 매립 감소 등의 효과가 있었으나 부정적 측면도 노출되어 적극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2009년 7월 지식경제부는 환경부와 협의를 통해 16개 시·도, 에너지관리공단, 한국전력공사, 도시가스협회 및 SK마케팅 앤 컴퍼니와 협력하여 탄소 캐시백·탄소 포인트·그린마일리지 등 3개 제도의 특성을 살려 운영하되, 적립된 포인트의 사용은 8월 이후 통합 운영키로 했다. 재활용 인센티브 관점에서 지속적인 확대와 실효성이 기대된다.

○ 2008년 8월 이후 환경부의 산업폐기물 재활용 인센티브 제도처럼 생활폐기물 재활용에도 구체적인 인센티브 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시된 정책목표와 실시단계에서 폐기물센터 이외의 소규모 키오스크와 밴딩머신 형태 등의 다양한 대안이 요구되며, 사전에 반드시 대안별 시스템의 ROI 검증을 통해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정책이나 제도의 선 시행/후 보완 방식을 줄여나가야 할 것이다.

○ 인센티브 구현을 위한 키오스크 접목 응용기술로서 소량 폐기물의 재활용 유도 요인(게임/인터넷), 소규모 기계적 방식이나 수동전원에 의한 작동, 폐기물 압축기, GUI를 통한 공익/상업적 광고와의 접목, 이동식 키오스크 기술 및 RFID태그 설치 등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아울러 재활용의 실효성 증대를 위해 인센티브로 지급되는 쿠폰의 현금화 및 쿠폰의 사용처를 획기적으로 늘리고 더욱 다양화해야 한다.
저자
RECYCLEBANK, LL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090021228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6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